반응형

2025/07/07 4

[신의료기술신문] 치매 전 단계 디지털 치료기기 ‘코그테라’, 내달부터 병의원 처방 가능

‘코그테라’, 치매 전 단계 디지털 치료기기…이르면 내달부터 처방 시작[신의료기술신문] 이모코그가 개발한 디지털 치료기기(DTx) ‘코그테라(Cogthera)’가 혁신의료기술 평가를 통과하며, 이르면 7월부터 병의원에서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에게 처방될 수 있게 된다.보건복지부는 최근 ‘코그테라’를 포함한 신의료기술 고시 개정안에 대한 의견 조회 절차에 돌입했으며, 이달 중 행정예고를 마치면 7월 1일부터 공식 처방이 가능해진다. 이번 평가는 약 50일 만에 통과하며, 디지털치료기기 가운데 가장 빠른 승인 중 하나로 기록됐다.코그테라, 인지기능 저하 늦추는 디지털 인지중재치료 솔루션‘코그테라’는 서울대학교 이준영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모바일 앱 기반 인지중재치료 소프트웨어로, 55세 이상 85세 이하..

신의료기술 2025.07.07

[신의료기술신문] 로엔서지컬 자메닉스, 인도네시아 첫 수술 성공…AI 신장결석 로봇 기술력 입증

AI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인도네시아 첫 수술 성공[신의료기술신문] 수술로봇 전문기업 로엔서지컬이 개발한 AI 기반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Zamenix)’가 인도네시아에서 첫 임상 수술에 성공하며 해외 시장 진출에 청신호를 밝혔다.이번 수술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국립병원(RSCM)에서 지난 6월부터 시범적으로 진행된 행사로, 총 7건의 수술이 진행되었으며 모두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수술을 집도한 인도네시아대학교 비뇨기과 폰초 비로워(Ponco Birowo) 교수는 “복잡한 결석 제거도 자메닉스를 통해 정밀하고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었다”고 호평했다.복잡한 결석도 무사히 제거…정밀한 AI 기술력 입증이번 수술에는 2.6cm 크기의 대형 결석, 다발성 결석, 접근 어려운 위치의 결석 등이..

신의료기술 2025.07.07

[신의료기술신문] 우울증 전자약 ‘마인드스팀’, 신의료기술 유예 연장…2년간 처방 지속 가능

우울증 전자약 ‘마인드스팀’, 신의료기술 유예 연장…병원 처방 2년 더 지속[신의료기술신문] 와이브레인이 개발한 우울증 전자약 ‘마인드스팀(MinddSTIM)’이 신의료기술평가 유예 연장 대상으로 선정돼, 향후 최대 2년간 병원에서 비급여 처방이 가능해졌다. 이번 결정은 보건복지부가 개정한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진행된 제5차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에서 최종 승인됐다.마인드스팀은 경두개직류자극술(tDCS)을 기반으로 우울증 환자의 전두엽 기능을 정상화하는 전자약으로, 2021년 식약처 시판허가 후 2022년 신의료기술 유예 대상으로 지정되어 국내 병원에서 활발히 처방돼 왔다.156개 병원 도입·18만건 누적 처방…임상 기반 효과 입증현재까지 마인드스팀은 상급종합병원 13곳 포함 156개 병의원..

신의료기술 2025.07.07

신경치료 후 크라운 꼭 필요할까? 씌우지 않으면 생기는 5가지 문제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씌우지 않으면 치아가 깨지고 재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왜 크라운이 꼭 필요한지, 치과의사가 설명하는 과학적 근거와 주의점을 소개합니다.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반드시 씌워야 하는 이유신경치료란 무엇이고, 왜 크라운이 필요한가?신경치료(근관치료)는 충치나 외상 등으로 치아 속 치수(신경과 혈관)가 손상되었을 때, 이를 제거하고 내부를 소독해 밀봉하는 치료입니다. 치료 후 치아는 감각을 잃고 약해지며, 이 상태 그대로 두면 치아가 깨지거나 재감염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 때문에 신경치료가 끝난 치아에는 대부분 크라운(보철물)을 씌우는 보강 치료가 필요합니다.크라운을 씌우지 않았을 때 생기는 문제점문제점설명결과치아 파절신경 제거 후 치아 내부가 비어 약해짐치아가 깨지면 재치료 불가, ..

건강정보 2025.07.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