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병원서 본 것 중 가장 크다” 여에스더가 앓고 있는 머릿속 시한폭탄, 뇌동맥류
가정의학과 전문의 겸 건강 전문가 여에스더(59)가 자신이 뇌동맥류를 앓고 있으며, 정기적인 추적 검사를 통해 상태를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2024년 4월 9일, 그녀의 유튜브 채널 ‘에스더TV’에는 “충격. 여에스더 뇌동맥류, 1년 동안 얼마나 커졌을까”라는 제목의 영상이 공개되었고, 영상 속에서 여 박사는 뇌동맥류 진단 당시의 상황을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여에스더는 2017년 일본 여행 중 머리에 묵직한 느낌과 통증을 경험했고, 귀국 후 분당의 병원에서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검사를 받은 결과 6mm 크기의 뇌동맥류를 진단받았습니다. 이후 꾸준한 추적 검사 결과 현재는 4mm로 줄어든 상태입니다.
뇌동맥류는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으며, 파열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머릿속 시한폭탄’이라고 불립니다.
🧠 뇌동맥류 정보 요약
항목 | 설명 |
---|---|
질환명 | 뇌동맥류 (Cerebral Aneurysm) |
정의 | 뇌혈관 벽이 약해져 국소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상태 |
주요 증상 | 대부분 무증상, 파열 시 극심한 두통, 구토, 의식 저하 |
위험 요소 | 고혈압, 흡연, 음주, 유전, 고지혈증 |
진단 방법 | MRA, CTA 등 영상의학적 검사 |
치료 방법 | 수술적 치료(클리핑, 코일색전술), 경과 관찰 |
관리 방법 | 혈압 관리, 금연, 스트레스 조절, 정기검진 |
여 박사는 지금까지 수술 없이 추적 검사만으로 뇌동맥류를 관리하고 있으며, 건강한 체중과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있어 크기 증가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사람들은 뇌동맥류가 무섭지 않냐고 묻지만, 나는 오히려 공포영화나 번지점프가 더 무섭다”며 “죽을 때까지 추적검사만 받고 관리하면 얼마나 좋겠냐”고 밝혔습니다.
뇌동맥류는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가 핵심입니다. 여에스더 박사의 사례처럼 수술이 아닌 비수술적 방법으로도 안정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경우가 있으므로, 정기적인 뇌혈관 검사와 생활 습관 개선이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