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장암 환자, 운동이 약물만큼 효과적일 수 있다 – 최신 임상연구 결과
최근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학회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 발표된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 대장암 치료 후 운동을 꾸준히 실천한 환자에서 암 재발 위험이 약 28% 감소하고, 전체 사망률도 37%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는 운동이 일부 항암제와 맞먹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첫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입니다.


연구 개요 및 주요 결과
구분운동군(코칭 포함)대조군(교육자료 제공)
대상자 수 | 445명 | 444명 |
평균 연령 | 61세 | 61세 |
연구 기간 | 약 8년(2009~2024) | 약 8년(2009~2024) |
주요 중재 | 맞춤형 운동 코칭, 점진적 운동량 증가 | 건강한 생활습관 안내책자 제공 |
암 재발/새 암 발생/사망 위험 | 28% 감소 | 기준치 |
전체 사망률 | 37% 감소 | 기준치 |
8년 후 생존율 | 90% | 83% |
운동량 | 주 45분 brisk walking, 4회(10 MET-h/week) | 1/4~1/2 수준 |
- 참여자 대부분(90%)이 3기 대장암 환자였으며, 수술과 항암치료를 마친 후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 운동군은 1년간 2주마다, 이후 2년간 월 1회 코치(물리치료사, 트레이너 등)와 만나 맞춤형 운동계획을 세우고 실천을 독려받았습니다.
- 대조군은 건강한 생활습관 안내책자만 제공받았습니다.
- 8년 추적 결과, 운동군은 대조군 대비 암 재발, 새 암 발생, 사망 위험이 28% 낮았고, 전체 사망률도 37% 감소했습니다.


과학적 근거 및 운동의 효과
- 운동의 항암 효과
운동은 인슐린 대사 개선, 체지방 감소, 기초대사량 증가, 면역력 강화 등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통해 항종양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유방암, 대장암, 직장암 등에서 운동이 재발 위험을 최대 45%까지 낮춘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 최고 수준의 근거
이번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RCT)으로, 기존 관찰연구 대비 인과관계를 명확히 증명한 점에서 의학적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지닙니다. - 운동의 안전성
부작용은 대부분 근육통, 염좌 등 경미한 수준이었으며, 심각한 문제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실천 방법 및 전문가 의견
- 실천 방법
대부분의 환자는 ‘빠르게 걷기(Brisk walking)’를 주 4회, 1회 45분씩(주 10 MET-h) 실천했습니다.
운동량은 개인의 체력과 생활패턴에 맞게 점진적으로 늘렸으며, 코치와의 정기적인 상담이 큰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 전문가 의견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Julie Gralow 박사는 “이번 연구는 약물과 맞먹는, 혹은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진 운동의 가치를 명확히 보여준다. 운동은 표준 대장암 치료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MD앤더슨암센터 Nancy You 박사 역시 “운동의 단점은 거의 없다. 모든 대장암 환자 치료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론 및 실생활 적용 팁
- 대장암 치료 후 운동은 재발 위험과 사망률을 크게 낮추는 효과적인 ‘보조 치료’입니다.
- 운동은 약물치료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병행할 때 최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코칭과 맞춤형 운동계획이 실천을 돕습니다.
- 빠르게 걷기, 자전거 타기 등 유산소 운동을 주 3~4회, 1회 40~60분씩 실천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제는 대장암 환자에게 ‘운동이 정말 도움이 되나요?’라는 질문에 명확히 ‘네, 그렇습니다!’라고 답할 수 있습니다.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은 환자의 예후를 확실히 개선합니다.”
— 연구 책임자 Dr. Christopher Booth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방 전자파 비교 분석: 전자레인지, 인덕션, 커피포트 중 가장 안전한 가전은? (3) | 2025.06.11 |
---|---|
약물 운전 논란 이경규, 공황장애 치료제는 어떤 영향을 줄까? (2) | 2025.06.10 |
담도암 사망률 1위, 조기 발견이 어려운 이유와 초기증상 총정리 (1) | 2025.06.09 |
성장호르몬 치료받으려면? 성조숙증 증상, 원인, 예방법 및 보험 기준 안내 (0) | 2025.06.05 |
생리불순이 계속된다면? 원인별 대응법과 생활습관 개선 가이드 (1) | 2025.06.04 |